[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 1392년~15세기~16세기 조선 전기 (정치)
16강 조선 전기(정치)
1392년 ~ 15c
조선을 세운 사람 (혁명파) : 신진사대부 + 신흥 무인 세력(대표적으로 이성계)
↔부딪히는 사람 : 권문세족
<권문세족>의
정치권력을 가져오는 사건 1. 위화도 회군(일종의 쿠데타)
경제 권력을 가져오는 사건 2. 과전법
혁명파 대표적 인물 : 정도전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온건파 대표적 인물 : 정몽주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온건파 - 낙향 - 향촌 자치 추구 - 사림파(원칙주의자-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은 믿지 않음.)
혁명파- 조선 건국 - 중앙집권 - 훈구파(세조)
중앙집권
- 태조
: 삼봉 정도전(재상 중심 정치를 꾀했던 인물)
- 한양도성 설계자, 과전법
-<불씨잡변> : 부처 씨가 하는 소리를 잡변, 잡소리라고 말하며 명백하게 유교의 나라, 유학의 나라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보여줌
-<조선경국전> :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시스템, 성종 때 완성되는 <경국대전>의 틀
-<경제문감> : 조선경국전에서 정치 편을 더욱 강화했던 것
-태종(왕 중심 정치) - 왕자의 난 (형,동생 죽이거나 제거 / 정도전 역시 죽임에 이르게 함)
(고려의 광종과 비슷한 모습. 태조 왕건 이후의 왕이 광종)
: 6조 직계제 (왕권 강화.재상들을 걸치지 않고 이,호,예,병,형,공 6조로 왕의 명령을 직접 내리는 것)
사병 혁파 (사병:자기 군사, 왕을 제외한 다른 사람들은 사병을 갖고 있지 못하게 함)
양전 사업 (토지 조사사업. 지방에 있는 토지,세금을 거둘 수 있는 시스템)
호패법 (주민등록증과 같은 호패법 남자들에게 시행)
신문고 (지방의 향촌에서 억울한 일을 당했을 때 북을 치면 들어주는 신문고 설치)
∴왕권 강화 지방통제 제도들을 다양하게 실행 - 시스템을 장악하기 위한 모습
-세종
: 의정부서사제 (의정부의 권한을 강화함. 서:서명한다)
집현전(현명한 사람들을 모아놓는 곳)
훈민정음
-4군(최윤덕) 6진(김종서) 개척 (여진족 정리)
쓰시마 정벌
(문종 일찍 죽음 단종 나이 어림)
-세조(수양대군) (왕권 강화) - 계유정난 : 세조가 일으킨 쿠데타 (한명회) - 단종 유배를 보내 죽게 함. (←신숙주(세종이 집현전에서 키운 사람이 단종을 죽이라고 명함) ↔ 성삼문)
:6조 직계제, 집현전 폐지, <경국대전>, 직전법(전직,현직 관리들에게 제공되었던 월급을 현직에만 제공하는 법 시행)
-성종
: [집현전 부활] 홍문관(옥당) : 경연(왕과 신하들이 토론하는 것), 서연(세자와 이야기하는 것)
<경국대전> 완성
<국조오례의> : 다섯개의 예법
16-2 사화
조선 건국의 자리가 잡히니 기득권이 되고, 기득권을 놓치지 않으려 노력하고 그 문벌귀족들끼리 권력을 나누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결국 무신들의 칼에 맞아서 죽게 됨. →고려시대 때의 모습이 또 반복됨.
사림파- 3사(언론기관) 장악하면서 사림파가 훈구파들의 부정과 비리를 폭로, 견제함.
훈구파
-사화(아직 힘이 있는 훈구 세력이 되치기하는 것) 사림들을 공격해서 사림들이 화를 입은 것.
· 무오사화(연산군 때) - 김종직 "조의제문"(초한지에서 의제라는 조카를 삼촌이 죽인 것을 비판하는 글) - 김일손 '사초'(조선왕조실록에 기본 바탕이 되는 자료들)
· 갑자사화(연산군) - 폐비 윤 씨 (자신의 엄마가 죽임당했다는 것을 알게 된 연산군이 죽이는 과정에 사림이 화를 많이 입음)
↑ 중종반정
· 기묘사화(중종 때-연산군을 물리치고 왕위에 올라간 인물) - 주초위왕(주 씨+초 씨 = 조 씨. 나뭇잎에 조 씨가 왕이 된다는 잎사귀가 걸림.) - 조광조의 사림파들이 대거 제거당하는 사건
- 조광조(등용된 사림파-원칙주의자) - 위훈 삭제 (훈장을 위조한 사람들을 반정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것) - 소격서 폐지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 - 현량과 (사림파들을 대거 등용하기 위해서 현명한 자들을 추천하는 것)
* 조선 3대 개혁가 : 조광조 , 김유, 흥선대원군
· 을사사화(명종 때) - 외척 대윤(윤임) vs 소윤(윤원형)
-임꺽정
사림파가 결국 올라올 수 있는 배경 = 유향소(여론 형성), 서원(인재 양성), 향약(향촌에 있는 농민들 장악)
∴이에 따라 사림이 권력을 장악하면서 집권하게 됨.
16-3 붕당의 형성 <16세기>
붕당(선조 때) (서로 뜻이 같은 사람들끼리 당을 형성하는 것) - 정몽주 - 길재 - 김숙자 - 김종직
이조전랑(인사권을 가진 사람.관직을 앉히는 결정권이 있음)을 갖기 위해 & 척신청산(동인 : 외척을 확실히 뿌리 뽑자 / 서인 : 과격하게 한 것을 지양) 방법이 달라 동인당과 서인당으로 나뉨.
-동인(김효원)
-서인(심의겸)
김종직(무오사화) - 정여창, 김굉필(갑자사화), 김일손(무오사화) - 이언적, 서경덕, 조광조(기묘사화), 김안국 - 조식, 이황, 이이, 성혼
조식, 서경덕, 이황 →동인당(북인-조식,서경덕 / 남인-이황으로 나뉨)
이이, 성혼→서인당(노론-이이 / 소론-성혼으로 나뉨)
1592년 (임진왜란 기점으로 조선 전기와 후기가 나뉨.)
이번 포스팅에는 한국 역사학에 관련된 고려 후기 말과 조선 전기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았는데
<육룡이 나르샤>을 다시 보면서 역사에 대해 글을 쓰며 정보를 공유하고 싶어져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글로 다시 언제 봐도 이해하기 쉽게 옮기는데 시간이 생각보다 오래 걸리네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조선(조직)에 관한 글을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역사학 (Korean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조선 전기 (문화2) (0) | 2023.02.09 |
---|---|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조선 전기 (문화1) (0) | 2023.02.08 |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조선 전기(경제, 사회) (0) | 2023.02.07 |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조선 전기 (외교) (0) | 2023.02.05 |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 조선 전기 (조직) (1) | 2023.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