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터치
개항기에 외국 세력들이 우리나라에서 이권들을 많이 가져갔는데, 그중 미국이 좋아했던 것이 '금'
금을 채굴하는 이권을 미국에 줘서, 미국이 금을 채굴하는 기계를 갖다가 대면 금이 와르르 쏟아지는 모습을 본 우리나라 사람들이 신기해서 만지니, 미국 사람들이 "노터치!"라고 말하니 우리나라 사람들은 금이 노다지라고 하는 줄 알고, 금이 쏟아져 나오는 것을 노다지라고 했다는 전설적인 이야기가 있다.
철인왕후의 드라마가 생각나는 대목이었다.
우리나라의 이권이 넘어가는 과정에서 나왔던 하나의 우스갯소리이지만 웃을 수 없는 이야기가 아닐까.
문이 열리고 우리의 이권들이 많이 외국으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우리는 어떤 모습으로 어떻게 대응하고 저항했는지 오늘 배워볼 예정이다.
- 32-1 열강의 경제 침탈
<강화도 조약> 라인과 <조미수호 통상조약>을 반드시 기억해 놔야 함!
· 76년도와 82년도 라인 사이에 볼 수 있는 것으로 옳은 것은?
· 82년도 라인 이후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옳은 것은?
★이런 식으로 시험 문제가 많이 나옴★
(예시 : 82년 이전에는 관세를 물지 않고 개항장에서 물건을 팔고 있는 외국 상인들의 모습들. 82년 이후에는 위와 같은 모습을 볼 수 없음)
강화도조약 (1876년) |
관세가 없음 | 최혜국 대우 규정 X | 강화도조약 | 개항장 무역 핵심 : 내지무역 불가 (개항장 밖으로 나갈 수 없음, 동서남북 10리로 밖으로 는 벗어날 수 없음) |
제한 없이 곡물이 유출될 수 있다. (곡물이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내용이 X) |
|
문제점: 가내 수공업자들이 엄청난 타격을 받음(영국에서 만든 좋은 면 제품들이 일본을 통해 들어오면서, 경쟁이 되지 않으면서 수공업자들이 망함) ↓ |
↓ | 강화도 조약 시기에는 내지무역을 할 수 없으니 전통 상인들이(보부상, 객주, 여각) 외국 상인들과 국민들 사이 중간역할로 돈을 좀 벌었음. ↓ |
||||
조·미 수호 통상조약 (1882년) ↓ 보빙사 - 유길준<서유견문> (체결 후 파견된 사절단) |
배경 : 황쭌셴의 <조선책략>영향을 받아서 체결된 조약. 러시아를 막기 위해서, 연미 하라. 내용 : 거중 조정(우리나라가 어려운 일이 있을 때 미국이 개입해서 사이에서 우리를 도와주겠다는 내용) |
관세 조항이 있음 | 최혜국 대우 체결됨 | 임오군란 | 조·청 상민수륙무역장정(임오군란 때 청이 진압하면서 영수증을 내민 것) 핵심 : 내지무역 가능(청·일 상인들이 들어오고, 전통 상인들이 설 자리가 없어지게 됨) 결과 : 청 ↔ 일본이 경쟁하는 시스템 (청·일 전쟁과 연결고리가 됨) |
조·일 통상장정 체결(이를 본 일본이 우리도 줘! 라고 해서 하게 된 것) 방곡령 조항(무제한으로 곡물이 유출되지 않을 수 있는 조항) |
↓ | 갑신정변(위로부터의 개혁) | ↑ 대항 상회사 · 주식회사 → 대동상회(80년 초반) , 장통회사(1883) (조·청 상민수륙무역장정으로 인해 외국 상인들이 들어오고 있음 / 거대 자본에 대항하기 위해 개미들이 연합해서 주식회사를 만듦) |
│ ↓ |
|||
│ | ← | ← | 방곡령 시행 (1880년대 후반) 함경도, 황해도 지역 시행(89~) · 위 지역의 지방관이 주도해서 시행 · 한 달 전 통보, (방곡령을 시행하려면 일본 상인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한 달 전에 통보하라는 내용대로 사실 통보했는데, 한 달이 넘어서 통보가 가게 되면서 조약위반이다. 배상금을 지불하라고 해서 배상금을 지불하는 어처구니없는 일도 있었음.) (무제한 곡물 유출을 막을 수 있는 법령이 시행되지 않고 곡물이 유출되고 있었음) |
|||
↓ | 동학(아래로부터의 개혁) | |||||
최혜국 대우가 힘을 발휘 | 갑오·을미개혁 (조세 금납화) |
─ (저항 X, 변화 대응) 은행 설립 · 조선은행 (96) · 한성은행 (97) · 천일 은행 (99) |
┘ | |||
이권 침탈 절정 · 러시아 : 삼림채벌권, 절영도조차, 한·러은행 · 미국: 운산 금광, 경인선(철도부설권 / 나중에 일본으로 넘어감) · 프랑스 : 광산채굴권, 경의선(철도부설권 / 나중에 일본으로 넘어감) |
아관파천 | ← 이권 수호 운동 · 독립협회 (전개했던 대표적 조직 / 만민공동회) · 절영도조차 막아냄 · 한·러은행 폐쇄함 │ ← 상권수호운동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외국 상인들이 맘껏 들어오는 과정에서 내지무역을 지키자!) 독립협회 ↓ · 황국중앙총상회 by 시전상인 · 철시 투쟁 (문을 닫음) |
||||
대한제국 | ||||||
대한 시설 강령 ─ 황무지 개간 요구 ─ |
러·일 전쟁 | ←황무지 개간 반대 · 보안회 · 농 광 회사 위의 두 조직이 하나가 되어서 막아냄 |
||||
화폐정리사업 (by 메가타, 1차 한일협약 때 파견되었던 고문) · 백동화(우리나라 전통 화폐) →제일은행권으로 바꾸는 사업 (↑ 은행·상업자본 타격 / 과정 중 등가교환을 해주지 않아서) · 전환국 폐지(백동화를 만드는 곳) 금(은 X) 본위제(금이 있는 만큼 찍어내는 것) |
을사늑약 | |||||
↓ 일본에 차관을 빌리면서 차관이 많이 들어옴 |
정미7조약 | ←국채보상 운동(07) (일본의 차관 같은 빚을 많이 져서, 빚을 갚고 자주적인 주권을 세우자! 하고 전개한 운동) · 나랏빚 1300여만 원 · 서상돈, ★대구★시험에 잘 나옴 (주도한 인물) · 대한매일신보에서 홍보를 해줌 |
||||
동양척식주식회사(식민지가 되었을 때 식민지 토지를 어떻게 운영할 거냐, 해서 1908년에 만들어 진 것) | ||||||
경술국치 (10.08.29) |
1단계 강화도조약 (물자 교환 단계)
2단계 아관파천 (이권을 침탈하는 단계)
3단계 러·일 전쟁 기점 (토지를 약탈하는 단계)
4단계 화폐 정리 (경제 시스템 장악하려는 단계)
- 32-2 경제적 구국운동
상회사, 방곡령 시행, 은행 설립, 이권 수호 운동-상권수호운동, 황무지 개간 반대, 국채보상 운동
오늘은 개항기 (경제)에 대해 작성하였고, 다음 글에서는 개항기(문화)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오늘은 전체적으로 그전에 내용을 복습과 동시에 언급하는 과정이 많았지만 정리하면서 공부하는 입장으로 최대한 쉽게 보기 좋게 정리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고민하면서 표 서식을 여러 번 바꾸어 봤는데, 이게 최선인 것 같습니다.
시간순으로 나열하고, 1에서 2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일들을 표시하면서 정리하다 보니 어려움이 있었지만, 제 노트를 보고 공부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최태성 선생님께서 강의하신 내용을 토대로 정리되었으며, 복습할 때 강의 재수강없이, 노트만 봐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놓은 노트입니다.
역사를 공부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포스팅을 마칩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료를 참고하실 때에는 모바일보다는 pc로 보시기를 권장해 드립니다.
'역사학 (Korean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일제 강점기 (식민 통치) (0) | 2023.03.02 |
---|---|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개항기(문화) (0) | 2023.03.02 |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개항기 (국권 침탈과 저항) (0) | 2023.02.25 |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개항기 (동학 농민 운동 ~ 대한 제국) (0) | 2023.02.24 |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개항기 (개항~갑신정변) (0) | 2023.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