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북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 6기 비버즈팜
역사학 (Korean history)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개항기 (동학 농민 운동 ~ 대한 제국)

by 해피너스242 2023. 2. 24.
  • 30-1 갑신정변 이후 국내외 정세

갑신정변 : 소수의 엘리트가 근대화를 이루기 위해서 일으켰던 사건, 위로부터의 개혁 운동

국외 · 영국 : 거문도 불법 점령 (청의 내정간섭이 강화되어서 외세-러시아를 끌어들여서 청을 견제할 생각을 함. 러시아를 끌어들였더니 러시아의 라이벌인 영국이 중국을 확보한 상태였기 때문에, 러시아가 중국으로 넘어올까 봐 러시아에 근접하고 있는 조선의 거문도를 불법적으로 점령을 해버림)
└ 문제점 해결방법들
중립화 논의 - 유길준<서유견문> 미국 유럽 다녀오면서 썼던 논문
                    - 부들러(독일인)
· 청 : 내정간섭 더욱더 심화
· 일본 : 미면 교환(쌀↔면, 강화도 조약으로 이미 문을 열어놨으니 경제적 침투에만 집중)
갑신정변
실패
                ↓
국내 · 쌀값 폭등
· 조세부담 심해짐
  - 전신(85년에 들어옴), 전등(87년) - 경복궁(전등이 처음 들어온 곳)
  - 육영공원(86년 근대적 학교, 최초의 국가가 운영하는 학교)
  - 광혜원(최초의 병원) → 제중원(이름이 바뀜. 민 씨 세력을 살린 알렌의 요청으로 지어진 병원)
  - 박문국(글씨를 찍어내는 곳) → 한성순보 발간(우리나라 최초의 신문)

 

  • 30-2 동학 농민 운동
국외 反 외세 동학농민운동의 순서
갑신정변
실패

동학농민운동 (94)
(아래로부터의 개혁운동 / 反 외세, 봉건 시대의 과제를 담아내고 있는 사건)
↑ 포접제
· 교조신원운동(동학의 교조 : 최제우, 혹세를 무민 한다고 해서 사형당함. 교조의 명예를 다시 복귀시키는 운동 /  1차 동학농민운동의 출발점)

<1차 봉기> : 반외세 < 반봉건
고부 봉기 : 조병갑(만석보)
(조병갑 : 봉기의 원인 제공자.세금을 뜯어가려고 난리 치는 사또이자 現 군수 / 만석보 = 저수지 → 사용하는 대가를 지불해야 함 / 저수지가 있는데 세금을 걷으려고 저수지를 또 지으면서 불합리하다 하면서 저항 속에서 일어난 봉기 이에 따라 조병갑은 쫓겨남)

백산 봉기 : 이용태
(안 익사 이용태가 고부 봉기 주동자를 잡아들이면서 다시 들고 일어나게 된 봉기.동학 농민 운동의 출발이라고 볼 수 있음.)

황토현 전투(관군과 부딪혀서 이긴 전투) - 황룡촌전투(관군과 싸워서 이김)

전주성 점령
├→(외세에 SOS를 침) 청 출발 - 톈진조약(갑신정변 / 상대국에 사실을 통보함) - 일본 파병
전주화약
(일본군까지 오니 우리나라 정부가 놀라서 전주성을 점령한 농민군과 화해함)
폐정개혁 (집강소 : 농민운동 개혁기구농민군들의 화해 조건 → 우리가 개혁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달라.) - 교정청(농민군들의 요구를 만들어주기 위해서 개혁을 단행함)
· 신분제 폐지 주장
· 토지 균분 주장, 과부재가도 허용하라.

<2차 봉기> : 반외세 > 반봉건
(1차 봉기에서 2차 봉기로 넘어가는 데 가장 중요한 배경 : 일본의 경복궁 점령)
·북접 연합
↓ 일으킨 전투
우금치 전투 (공주)
군국기무처(갑오개혁 주도) / 동학농민군 진압
갑오개혁
·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갑오개혁을 밀어붙임

톈진조약으로 인해 파병을 온 일본군들이 고종과 명성황후가 있는
경복궁을 점령 - 청·일 전쟁(안산→평양 우리나라 전 지역이 전쟁터가 됨 / 일본 승) - 갑오개혁
경복궁이 점령되면서 농민군들이 다시 일어나게 됨
국내 反 봉건(신분제도를 유지하고 있느 봉건 정부, 신분제가 존재하는 시스템을 반대함)

혹세무민 : 세상을 어지럽히고 백성을 미혹하게 하여 속임.

 

  • 30-3 갑오개혁

<갑오개혁> 1894년

<1차 갑오개혁>
· 군국기무처 김홍집(주도) + 흥선대원군
· 정치 : 의정부 6부 체제 → 의정부 8아문, 궁내부 설치, 개국 기원(조선 건국 연도 ~ 올해가 몇 년 이렇게 쓰는 것)
· 경제
  - 도량형 (cm,kg…단위) 통일, 재정의 일원화 (탁지아문 : 재정을 담당하는 기구 / 왕실과 국가 재정을 투명하게 하나로)
  - 조세의 금납화(세금을 돈으로 내자), ★은(금 X)본위제★
· 사회 : 신분제 폐지 과부재가 허용, 과거제 사라짐
→ 청·일 전쟁
일본의 승리로 끝남

시모노세키 조약
└조선의 자주독립, 요동반도 땅 가져감 (이토 히로부미)

삼국간섭(러·프·독)
(삼국간섭으로 요동반도 땅을 다시 토해냄)

을미사변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요동반도는 빼앗겼지만, 조선은 빼앗길 수 없다며 일어난 사건)

을미개혁(95년)
· 연호 사용 : 건양
· 단발령
· 태양력
· 종두법 (천연두를 예방하기 위해서)
<2차 갑오개혁>
· 독립서고 문, 홍범 14조(종묘), 박영효(중심,친일 인사) + 김홍집
· 정치
- 중앙개혁 : 의정부 8아문 → 내각 7부
- 지방개혁 : 지방 8도 → 23부 체제, 재판소(지방관 권위 떨어트림) 설치 
· 사회 : 교육 입국 조서의 반포(근대의 학제)
              └ 소학교 ~~ 중학교
               - 사범·외국어 학교

일본의 개입이 있음.

80년대 개화 정책 추진하는 기구 : 통리기무아문

90년대 개화 정책 추진하는 기구 : 군국기무처

도량형 : 길이, 무게 등을 재는 단위

시험에 잘 나옴★은 본위제★ : 돈을 찍어낼 때 가지고 있는 은만큼만 돈을 찍어내는 것 

조선 사또는 이전엔 행정, 사법, 군사를 모두 겸임했음. 지금은 법원으로 바뀐 게 갑오개혁 때부터임.

 

  • 30-4 독립협회, 대한 제국

                  환구단(환궁우 : 환구단을 서포트해 주기 위한 곳)

아관파천 (96) 대한제국(97)

(자신의 권위를 위협받은 고종이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를 해산시킴)
해산 / 황국협회 (보부상 중심 단체)


광무개혁
(고종의 단독 정치)
↑            ↓
독립협회                  ③독립문 
↑                   
①독립신문                       
독립협회만민공동회(만여 명의 국민들이 모여서 회의하고 시위하는 것 / 우리나라 최초의 정치 시위)를 엶
· 러시아 절영도(부산) 조차를 막음
· 한·러은행 폐쇄함
- 구본 (동도)
 : 황제권 강화
   └ 대한국 국제 (99년 / 모든 권력은 황제로부터 나온다)
    - 원수부 설치
(구본 : 옛것을 본으로 한다)

- 신참 (서기)
 : - 양전 사업(토지조사)
  └지계발급(토지 계약문서)
     └ 근대적 토지 소유권 확립
   - 상공업 진흥
   - 기술학교 설립
   - 전차 개통
   - 경인선 개통(최초의 철도)

(독립협회 등…과 직접 관련이 있는 인물)
서재필
관민 공동회
· 박정양(관리에 해당하는 대표적 인물) + 윤치호(民 에 해당하는 대표적 인물)
· 헌의 6조
  - 입헌군주제를 지향 (헌법 밑에 군주)
  - 재정의 일원화 (탁지부 - 내각7부로 바뀐 상태)
  - 피고의 인권 존중
 
 
중추원 관제를 선포 (의회 설립 운동)
 

①독립신문을 만든 사람들이 주도되어 만든 단체 : ②독립협회의 목표 : ③독립문을 세우는 것

→중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이야기함.

 

환구단 :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곳

 

고종의 광무개혁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배경 : 일-러 팽팽한 균형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고종이 개혁을 단행한 것.


오늘은 개항기 (동학 농민 운동 ~ 대한 제국)에 대해 작성하였고, 다음 글에서는 개항기 (국권 침탈과 저항)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최태성 선생님께서 강의하신 내용을 토대로 정리되었으며, 복습할 때 강의 재수강없이, 노트만 봐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놓은 노트입니다.

역사를 공부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포스팅을 마칩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