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북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 6기 비버즈팜
스마트팜 (Smart farm)

[전북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 4주차 - 열째 날 10/18 농업 전기·전자 기초 / 로즈밸리, 러브리프 현장견학

by 해피너스242 2024. 1. 14.
10월 18일 (수)

<9:00~13:00>

사주차의 수요일 첫 번째 수업은 농업 전기·전자 기초에 대해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농업전기 설비관리 목적에는 안전한 동력제어시설, 온실환경제어장치운영, 지속적인 유지관리, 사용자 비용절감 등의 이유가 있습니다, 스마트팜 시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기는 빠질 수 없는 부분이고 전기를 잘 못 다루면 큰 사고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더 주의하고 공부를 해야 합니다.

 

발전기는 15,000V → 3,300V → 380V 변압기로 변압이 됨.

전봇대의 변압기 ∞ 분전함 차단기

 

380V 삼상 교류 4 선식 배선차단기(MCCB)에는 R, S, T, 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N은 땅과 연결이 되어있어 전기가 통하지 않는 선이고, 전봇대 변압기에서 나오는 선.

접지단자는 땅과 연결된 선을 말을 함.

 

농업전기설비 시 접지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감전등의 전기사고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전기기기와 대지를 도선으로 연결하여 기기의 전위를 0으로 유지해야 함. 이것을 "어스"라고도 한다.

전기 기계·기구
절연 불량
→ 누전 외함 접지  대지로 방전
외함 미접지  인체 전격/감전

(좌)배선차단기, (우)누전 차단기

 

제어반은 배선차단기(MCB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와 누전 차단기(ELCB :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가 있음.

배선차단기는 과부하 및 단락보호를 겨만 차단기로 몰드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

누전차단기는 전동기계기구가 접속되어 있는 전로에서 누전에 의한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단기. 극수에 따라 2P, 3P, 4P로 나뉨.

R&N, S&N, T&N = 220V(단상)

220V를 사용할 때 전기를 C, D, F 다 따로 쓰지 않고 한 곳의 전기만 많이 쓰면 전기세가 많이 나올 수 있음.

R, S, T 상 = 380V(삼상→RS, RT, ST)

 

누전차단기는 합선에 의한 화재 예방, 누설 전기에 의한 감전 사고예방, 가전용품 등 사용자 빈도가 많은 전기 기기 등에 반드시 설치해야 함.

 

백열등, 삼파장, LED 중 온시 운영시 삼파장이 가장 좋음.

상추와 같은 경우에는 10cm마다 있어야 좋음.

  가격 사용기한
백열등 1,000원(100W) 1000시간 5개월 1,200lm
삼파장 형광등
(파장이 좋아 주변이 밝음)
15,000원(100W) 8000시간 2년 7,500lm
LED 전구(비추는 곳만 밝음) 10,000원(12W) 25000시간 10년 1,080lm

전자 접촉기 (마그넷 SW) 와 전자 접촉기 과전류 차단기 원리

잘 안 돌아갈 땐 [사진 2] 밑에 있는 부분을 확인해 보면 빨간 버튼이 나와있을 경우가 있음. 그럴 땐 빨간색 버튼을 누르면 금방 해결이 됨.

그럼에도 잘 돌아가지 않는다면 밑쪽 1번째를 나사를 드라이버로 돌리면 센서를 둔하게 만드는 거지만 배수는 되니 돌렸다가 다시 잠가줘야 함. 그럼에도 계속 빨간색이 나온다면 바꿔야 함.

(좌)열동력:저렴한것 / (우)전자식:비싼것

시설업자가 저렴한 것만 달아 놓을 수 있으니 알아두기.

*전자식은 신호가 작동하게끔 220V 전기를 넣어주어야 함

[사진 2]에 쓰이던 부품 2개가 빠지고 [사진 3] 한 개로 바뀜.

스마트팜 자동제어 구성 기계 부품에 대해 설명해 주셨습니다.

교재에 나와있는 온실 모터의 작동순서에서 쓰이는 모터, 마그넷, 차단기에 대한 사진과 일반적인 모터의 결선 사례에서는 문제가 생길 시에는 이상, 정지, 작동 등의 표시가 나오는 부분과 

천장 스크린 모터의 결선 사례에서는 밑쪽에 모터가 F버튼을 누르면 앞으로(시계방향), R버튼을 누르면 거꾸로(반시계 방향), S는 스톱버튼, 알람은 문제가 있을 때 알람이 뜨는 일반적인 온실의 회로의 생김새도 알려주셨습니다.

 

온실의 천장 및 스크린 모터 리미트 SW에서는 스크린 모터의 생김새와 문제가 있을 때 봐야 하는 부분을 알려주셨습니다.

왼쪽에 1차 리미트 스위치는 스크린이 더 이상 못 가게 건드려 주는 부분과, 1차가 문제 있을 경우에는 오른쪽에 2차 리미트 스위치이고 2차 리미트 스위치(=비상스위치 작동신호)는 오른쪽에 위치해 있음.

*회로에 나온 열림/닫힘을 작동시켰음에도 모터가 작동하지 않으면, 플라스틱에서 리미트 스위치가 부러져 있거나 100% 망가져 있음.

그럴 땐 새것으로 바꿔 끼워야 함. 그럼 다시 모터가 작동함.

업자에게 맡길 경우엔 50만 원을 줘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것을 혼자 바꿀 수 있어야 함.

리미트 스위치 연결 단자에 여러 가지 선이 붙어있고,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사진을 "꼭" 찍어놓기.

네덜란드에서 수입하면 주는 도면

DC 24V는 전달하는 선의 길이가 멀어져 버리면 온전히 24V를 보내지 못해서 전깃줄을 굵은 걸 써야 함.

전깃줄 쓰여있는 단위:15mm=1.5SQ

[사진 2] 정도 되는 2mm를 써야 24v전달가능

컨트롤 박스의 좋은 사례

1️⃣번처럼 한 동당 하나씩 나눠야 어느 동에 문제가 생겼는지 바로 알 수 있음. (한 개당 2~3만 원짜리)

2️⃣번 마그넷 SW

3️⃣번  = [사진 2] 누전차단기

[사진 1]에 ⌜⌟ 표시되어 있는 부분대신 [사진 2]에 하이브리드 모터 스타터 피닉스사 것으로 대체가 가능함.

위에 천장 스크린 모터의 결선 사례 사진에서 나온 3개의 모터 제어기는 총 15만 원이고 [사진 2]의 피닉스사의 3상 모터제어기는 30만 원이니, 피닉스사 것을 추천해 주셨습니다.

제어반의 구성 및 작동원리
전원공급
누전 차단기 전원공급
피닉스사
(= 14핀 릴레이 소켓+차단기)
전원공급
개폐기 구동
  스위치 ↗️    

 

산란광 유리

이론강의 외에도 열정적으로 현장에 나가 컨트롤 박스 안을 설명해 주시고 스크린 작동하는 것도 직접 보여주셨습니다.

이외에도 농업용 펌프와 송풍기의 종류와 기능, 농업용 센서의 종류, 온·습도, 이산화탄소 센서의 보정. 3-웨이 밸브, 온실 난방배관 기술 등에 대해서 강의가 진행 되었습니다.

 

박사님 강의를 통해 농업 자동제어에 이해해하고, 정보 기술활용을 해야 생산성과 소득을 높여야 지속 가능한 농업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13:00~14:00>

점심으로 나온 제육!! 맛있게 잘 먹었습니다! 😋


<14:00~18:00>

엽채류, 오이, 딸기팀은 로즈밸리와 러브리프를 방문했고, 토마토팀은 아침에 딸기, 아름을 방문했습니다.

로즈밸리


러브리프


아침에 딸기


아름

 


이번 포스팅에서는 열째 날에 대해 포스팅하였는데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열한 번째 날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혹시 포스팅된 글 중 틀린 부분이 있을 시, 말씀해 주시면 수정할 테니 어떤 피드백이든 좋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댓글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댓글